세무실무 재무제표 비율분석
페이지 정보

본문
재무비율분석 -> 안정성(단기채무변제능력[유동비율, 당좌비율], 장기지급능력[부채비율, 이자보상비율]), 수익성(매출액순이익률, 총자산이익률, 자기자본이익률), 활동성(총자산회전율, 매출채권회전율, 재고자산회전율)
1. 안정성 -> 이 사람이 돈을 갚을 능력이 있는가? -> 단기채무와 장기채무를 갚는 능력을 평가
유동비율(유동자산/유동부채) : 단기지급능력 평가 -> 200% 이상으로 되는 것이 이상적
부채비율(타인자본/자기자본) : 자본구조 평가 -> 높을수록 채권자위험 증가 -> 즉, 대출하는 은행이 돈을 못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 -> 100% 이하가 표준비율이지만 선진국에서는 200%이하도 우량기업으로 봄
이자보상비율(순이익/이자비용) : 이자비용이 기업에 어느정도 부담이 되는지 -> 통상 1.5배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본다
2. 수익성 -> 당기순이익 분석 ->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비율이 얼마나 되는가,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한였는가
매출액순이익률(당기순이익/매출액) :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의 비율 -> 업종별 경비율과 비교하여 판단
총자산이익률(당기순이익/총자산) : ROI, 투자수익률 ->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는가 -> 시중금리와 비교하여 판단
자기자본이익률(당기순이익/자기지본) : 주주가 투자한 자금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가
3. 활동성 -> 회전율 분석 -> 매출채권이 얼마나 빨리 현금화되는가, 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팔리고 있는가
총자산회전율(매출액/평균총자산) :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매출액을 창출하였는가
매출채권회전율(매출액/평균매출채권) : 매출채권이 현금화되는 속도 -> 매출채권이 작으면 회전율이 높아지고 매출채권이 빠르게 회수되고 있다는 뜻
재고자산회전율(매출원가/평균재고자산) : 재고자산이 판매화되는 속도 -> 매출원가가 높다는 건 그만큼 재고가 잘 나간다는 뜻
- 이전글지급명세서 제출방법 20.09.08
- 다음글[세법학] 2018년 주요판례 20.09.08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