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가관리회계 cvp분석
페이지 정보

본문
cvp분석 -> 단기적 의사결정 ->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 -> 노무원가가 조업도와 무관하게 지급되거나 노조에 의해 최저임금이 보장되는 경우 노무원가가 변동원가가 아니라 고정원가가 될 수도 있음 -> 이 경우 말차초플에 FOH뿐만 아니라 노무원가도 같이 분석해주어야 함
손익분기점 -> 결국 고정비 싸움임
(p-vc) x Q - FC = 이익 -> 판매량은 단위당공헌이익
S x 공헌이익률 = 이익 -> 매출액은 공헌이익률
손익의 맥시멈은 고정비고 가격은 무조건 변동비를 회수해야함
그리고 cvp분석에서 매출이 증가됐다고 나오면 보통 Q가 변한거지 가격을 올려서 매출이 증가하는 건 아님(가격올리는건 가격인상이라고 따로 표현됨)
현금흐름분기점 -> 내 주머니에 있는 현금을 구하려면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는데 간접법은 회계상영업이익에 현금유출없는비용(감가상각비)를 더하면 구할 수 있음
즉, 내 주머니에 있는 현금은 세전,세후이익 + dep
이걸 0으로 만들면 현금흐름분기점을 구할 수 있음 -> 회계상이익이 0이라는건 아직 아주 절망적인상황아님(투자금액dep만큼 아직 현금이있는상황임) -> dep를 구하는 진짜 이유는 자본예산, 즉 현금흐름을 구해서 할인율을 적용하겠다는 것, 순운전자본을 고려(나중에 결국 회수될 자본들)
영업레버리지도 -> 손익계산서 자료정리 후 고정원가에 선 긋는 연습을 하자 -> 근데 사실 판매량변화되면 공헌이익이 변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(고정원가는 일정), 그냥 영업레버리지도로 분석안해도 판매량변화에 단위당CM을 곱해서 영업이익의증감을 분석하면 끝임 -> DOL의 의미는 그냥 판매량이 변할때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다는걸 보여주는 의미밖에는 없음
손익분기점을 감소시키는 게 중요한문제인데, 그래프를 보면 CM증가(가격인상,변동비인하)시 기울기가 증가되어 손익분기점판매량이 감소함, 그리고 고정원가를 감소시키면 그래프가 위로 이동해서 손익분기점판매량이 감소함
전부원가계산 손익분기점 -> 변동원가에 단무지 포함시키고, 고정원가는 고정판매관리비만 고려
복수제품의 CVP분석
1. 가중평균공헌이익률 구하는 방법 두가지
ㄱ. 총I/S에서 바로 구할 수 있음 -> 총 IS의 공헌이익률이 바로 가중평균공헌이익률
ㄴ. 제품별 매출배합비율에 각 제품의 공헌이익률을 곱해서 더하면 됨 -> 소수점과 소수점을 곱해야함 -> 매출액배합비율이 나오면 소수점으로 바꾸자
고정원가를 공헌이익률로 나누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이나옴
고정원가를 단위당공헌이익으로 나누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이나옴
p.475 문제1 학습곡선
누적생산량, 평균, 총, 증분 칸을 그려놓고 접근
p.481 문제3
자료정리 -> 변곡구간을 작업일을 기준으로 나누는 경우, 작업일을 다시 생산량으로 바꿔주어 최종적으로 변곡구간을 조업도(생산량)으로 나타내야함
매출액의 일정비율이 변동원가가되는 변동원가가 있는 경우 -> 매출액 변화에 따라 원가가 바뀌므로 화살표로 비율을 나타내주자
p.478 문제2
변동원가, 고정원가가 구간별로 변할때 변동,고정원가 중 하나만 변해도 구간을 나눠줘야함
변곡점에서 총고정원가가 변경시 증분원가로 반영해서 자료정리, 손익분기점 판매량구할때, 첫구간부터 차례대로 진행해가면서 누적판매량을 파악해야함
p.510 문제12
목표매출액변경 -> 변동원가도 자동변경됨
p.505 문제10
골드회원 -> 35일전부 다 골드회원이 아니고 20일까지는 그린회원, 20일초과인 15일만 골드회원으로 분석하는 것이 타당함
조업도를 파악한후, 조업도와 비례하지 않는 것은 고정원가임
p.495 문제8
가중평균공헌이익률 = 총공헌이익 / 총매출액
-> 손익분기점매출액을 구하라고 했으면 가중평균공헌이익률로 접근하자 -> 손익분기점은 항상 고정원가를 회수하는 것이 목적
p.488 문제6
해지불능조건 -> 고정비라는 얘기를 하고싶은것
손익분기점을 달성하기 위한 개최횟수 -> 이러면 이제 회당 공헌이익을 다시 구해야하고, 방금까지 1회당비용이 고정비였다하더라도, 여기서는 회당공헌이익으로 바뀌었기때문에 고정비가 변동비로 바뀌는것임
p.507 문제11
매출액이 변동된다는 물음의 단서 -> 변동원가 변동을 반드시 체크하자
매주10회의 편도운항 -> 스케쥴이 고정 -> 연료비가 빼박 고정원가가 되버린다는 사실
유예3순환 3주차 문제3
임대가능한 객실 각각에 대해 매일 보수,유지,관리 -> 이건 변동비가 아니고 고정비임(빼박 매일 발생)
유예3순환 3주차 추가문제
손익분기점 구할때 -> 고정원가나 변동원가가 조업도 구간별로 변동하면 조심해야한다 -> 그냥 아무생각없이 고정원가를 공헌이익으로 나누지말고, 고정원가를 구간별로 구하고 누적적으로 나아가야함
- 이전글관련원가 의사결정 20.09.07
- 다음글전부원가, 변동원가, 초변동원가계산 20.09.0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