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가관리회계 종합예산
페이지 정보

본문
종합예산 -> 전체에 대한 예산(보통 1년단위로 편성) -> 기업전체적으로 달성해야 할 이익, 현금흐름, 재무상태
-> 제품원가계산과 달리 역방향으로 이루어짐(목표판매량->목표생산량->원재료매입예산)
운영예산으로 I/S를 뽑아내고 B/S를 뽑아내는데 B/S가 외부보고용이므로 I/S는 당연히 전부원가계산 손익계산서를 말하는 것
-> 전부원가계산손익계산서이므로 단무지가 나오는데 목표생산량으로 추정하면 단무지가 계속 바뀌고 기준조업도를 사용하면 단무지는 변하지않지만
조업도차이가 발생함
p.684 문제1
재무상태표 -> 전부원가계산
매출채권, 매입채무 -> 현금예산 구할때 필요함
종합예산은 매기 목표생산량이 달라지기 때문에, 매기 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가 달라지고 제품원가가 달라져서 재고층을 구분해서 매출원가를 구해야 한다는 것
보통 원재료, 제품의 기초,기말금액을 판매량이나 생산량을 이용해서 추정해야 함
고정원가에 감가상각비가 포함된 경우 -> 현금유출없는 고정원가
현금예산 -> 매출채권,원재료매입,직접노무원가,제조간접원가,판매관리비를 순서대로 나열해서 구하자
p.693 문제3
종합예산에 표준원가가 주어진 경우 -> 전기,당기 원가가 동일하다면 재고층을 구분할 필요가 없음 -> 표준원가는 원가가 바뀌지 않는 이상 재고층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대신에 조업도차이가 있고 실제원가는 조업도차이는 없지만 매기 단위당foh가 변동하기 떄문에 재고층을 구분해야한다
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분석을 통해 실제,예산,SQxSP 를 뽑아내고 조업도차이를 뽑아내야 함 -> 변동원가계산에서 고정원가 차감할때 실제금액을 차감하고 조업도차이를 매출원가에 조정할경우 전부원가손익계산서에서 조정
현금예산 -> 고정제조간접원가 장부금액이 아니고 실제금액을 써줘야 한다는 것
- 이전글판매부문의 성과평가 20.09.07
- 다음글표준원가계산 20.09.0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