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분법 > 세무

본문 바로가기
사이트 내 전체검색

세무

재무회계 지분법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정글리안
댓글 0건 조회 6,755회 작성일 20-09-07 21:13

본문

지분율에 따른 투자지분회계처리


0~20% -> 매매목적 -> 원가법orFV법(FVPL,FVOCI금융자산) -> 투자기업과 피투자기업


20%이상~50%미만 -> 영향력행사목적(배당이 주목적) -> 투자기업과 관계기업(관계기업주식) -> 지분법 -> 꼭 20%이상 소유안해도 유의적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음 -> 유의적인영향력이란 피투자자의 재무정책과 영업정책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


50% -> 공동지배력(지배력에 대한 계약상 합의된 공유[not협의, 합의는 협의보다 강력한 것으로 만장일치임 -> 지분율과 관계없이 합의되는 상황있을 수 있음, 그럼 지분율상관없이 합의에 따라야함]) -> 참여기업과 공동기업(공동기업주식) -> 지분법


50%초과 -> 지배력행사목적 -> 지배기업과 종속기업(종속기업주식)




지분법적용배제


투자전문기업 -> 매매목적이므로 지분법보다 FVPL로 분류하는 게 더 목적적합함


매각예정비유동자산분류 -> 감가상각X, 순공정가치로 손상만인식(위로 올라갈 수는 없음) -> 지분법X




지분법회계처리


주식배당 -> 회계처리하지 않음


취득할때는 시가로 구입하기때문에, 계속기업가정에 따라 원가로 평가되어있는 회사자본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음(그 차이는 두 가지로 구성되어있는데 식별가능한 순자산FV차이[n식별가능해서 상각가능], 식별불가능한 n이 비한정인 투자차액임) -> 지분법이익 계산할때, 투자비용의 개념인 평가차액상각액을 차감해주어야 함 -> 골때리는건 +평가차액은 영업권이라서 n이 비한정인데, -평가차액인경우 염가매수차익으로 n=즉시이고, 지분법이익에 묻어서 즉시 수익으로 인식해주어야 함(염가매수차익이라는 계정과목이 나오는 건 아님)




현금배당 수령 -> 투자의 회수로 분개


기말 관계기업주식 장부금액 -> 분개법으로 일일이 다 더해도 되고, 장부금액의 세가지 구성항목인 관계기업BV,평가차액미상각잔액,투자차액잔액의 합으로 구해도 됨






특수모형


1. 내부미실현손익 -> 연결과 달리 특이한 점은 논리적으로 맞지는 않지만 상향,하향내부거래 구분하지 않고, 즉 방향성은 인식하지 않고 전부 지분율을 고려해서 제거한다는 점 -> 내부미실현손익 실현시 추인




2. 현물출자에 따른 내부거래미실현손익 -> 상황 두가지가 합해진 상황인데, 현물을 주고 주식을 삼 + 상대방이 증자하는 경우 -> 상대방이 증자할 때 내가 현물을 내고 참여하는 것임 -> 보통 현금내고 살땐 회사꺼 사는게 아니라 주주에게 가서 사오는 것인데 이 경우는 회사한테 직접 사오는 것이라서 내부거래가 발생하는 것임(내부거래이려면 주주와의 거래가 아니라 회사와의 거래여야 함) -> 이러한 유형자산처분이익도 지금 인식할 수 없는 내부거래로 보아 일시적으로 감액해주어야 함 -> 즉, 지분률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거 -> 단, 관계기업주식 말고 일부 현금으로 받은 경우 처분이익을 안분해주어야 하는데 실현이익부분과 미실현이익부분으로 안분해서 내부거래로 보는 진정한 미실현이익을 구해야함 -> 상업적실질이 결여되어 있다면, 해당 손익이 미실현된것으로 보며 유형자산처분손익 인식하지 않음(일시적감액이 아니고 아예 실현자체가 안됨)




내부거래된 자산 손상시 -> 미실현이 아니고 실현된것으로 보아 제거하지 않음




p.12-3 문제1




혹시 지분법문제에 기말FV가 나온다고 해도, 지분법은 공정가치평가와는 관련이없기때문에 공정가치평가는 하지않는것임




p.12-19 문제1




현물출자할때 현금받는 부분 -> 판매한것으로 봄 -> 아직 지분관계가 형성되기전이므로 내부거래가 아님(현금거래라서 내부거래가 아닌게아니고 지분관계형성전이라는게 중요) -> 관계기업주식 금액변동시 영업권 금액 변동될 수 있다는것도 참고






단계적취득


추가취득으로 유의적영향력행사시


10%(fvpl,fvoci) + 20% = 30%(관계주식)




10%부분은 새롭게 관계주식이 되는것이므로 ni나 oci이익 인식 후 관계주식으로 바뀌는것이고, 20%부분은 태어날때부터 관계주식이니 그대로 관계주식으로 인식하면됨




단계적처분




일부처분했는데 유의적영향력 유지(40%-10%=30%)


-> 이건 그냥 1/4만 판것임 -> 지분법기타포괄손익 있었다면 그 비율만큼 재분류조정하거나 이잉으로 대체한다는 것에 주의




일부처분했는데 유의적영향력 상실(30%-20%=10%)


-> 이건 관계기업주식 30%를 다팔고 10%에 대해서 새롭게 fvpl,fvoci금융자산을 인식한다는 의미




지분법적용의 중지와 재개


-> 관계기업자본이 0밑으로 내려갈 수 있지만, 투자회사의 주식은 0밑으로 내려갈 수 없음(유한책임) -> 지분법손실이 대량으로 나오면 의심해봐야함 -> 단, 유한책임의 예외상황이 두 가지 있는데 피투자기업의 손실보전의무가 있는 경우 더 이상 깔 주식이 없으니 관련부채를 인식하고(손실충당부채의 논리), 만약에 다른 투자자산을 보유시 관련자산도 못 받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(담보설정된 것은 받을 수 있으므로 제외) 다른 관련자산을 관계기업주식으로 간주하여 지분법손실로 반영(권리소멸->손실충당금의 논리)






관계기업주식의 손상


-> 비교할 것이 일반적인 fvpl,fvoci지분상품과의 비교인데, 이런 일반적인 지분상품은 매매목적이지 배당받을 목적, 즉 사용목적이 아니므로 손상이란 게 있을 수 없음(손상이란 건 약속된 돈을 못받게 되는 개념) -> 하지만, 관계기업주식은 매매목적이 아니고 사용목적이기때문에 유형자산손상논리와 비슷하게 손상징후를 검사한 후 손상을 인식(지분법적용후bv와 회수가능액과의 비교 -> 손상인식,환입) -> 주식안에 녹아들어있는 영업권도 같이 싹다내려갔다 올라갔다 하는 것임(고급회계처럼 환입불가랑은 상관이 없음 : 주식에 녹아있기 때문, 어차피 지분법은 간편법)




p.12-8 문제2




일부처분시 주식에 녹아있는 영업권, 평가차액도 비례적인 부분만큼 감소한다는 것에 주의 -> 또한, 주의해야할 것은 OCI부분임(재분류조정이 되는 OCI인지도 확인) -> 처분이익부분은 일단 당기손익임, fvoci의 금융자산의 oci는 선택적 이잉대체




종전부터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이었는데 추가취득했거나 처분해도 계속 지분법이 유지되는 경우 -> 잔여보유지분을 재측정하지 않는다






p.12-12 문제3




지분법의 중지와 재개에서 다른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 금융자산이 기타포괄지분상품이었다면, 손실인식시 기타포괄지분상품을 관계기업주식으로 간주해 기타포괄지분상품이 감소하면서 당기손익으로 처리되는 특이한 회계처리가 나올 수 있음




p.12-15 문제4




손상을하는데, OCI인식된 금액이 있다면 먼저 그 금액부터 까고 나머지를 당기손익인식해야함 -> 유형자산과 유사 -> 환입할때는 OCI부터 다시 살리고 나머지를 수익으로 환입




p.12-22 문제2




염가매수차익이 나왔을때, 반드시 즉시 수익처리해야한다는 걸 잊지말자


회사가 여러개 나왔을 경우, 회사별로 자료정리해서 문제를 풀어야 안 헷갈린다




유예2순환 7주차 문제1


AC금융자산(채권) -> 기포누 구할떄는 상각후원가와 공정가치륿 비교 -> AC금융자산(주식)이 취득가액과 공정가치를 비교하는 것과 비교해야함


지분법을 해야하는데 원가법을 적용했다? -> 배당금 받은걸 원가법에서는 차변에 현금, 대변에 배당금수익을 잡았다는 걸 캐치 -> 오류수정시 수익을 취소해줘야함




지분법 지분율 40% -> 30% : 지분법 계속 유지하되, 기타포괄손익도 같이 없어진다는 것 주의


지분법에서 주식배당 -> 회계처리 생략



일일특강

주식취득일 x1.1.1 피투자회사 자본총계가 1,030,000원인데 알고보니 x0년 12월 31일 배당기준일로 30,000원 배당을 결의했다는 것임 -> 그럼 30,000원은 투자회사의 지분이 아니므로, 피투자회사 자본총계는 1,000,000원으로 놓고 풀어야함


건물으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지 않았는데, 회사가 재평가를 실시했다는 것 -> 그럼 차이가 해소되니까 추인이 되는 건 맞는데, NI로 추인되는게 아니고 OCI로 추인되서 기타포괄손익에 영향을 미치게 됨


관계기업주식의 손상 -> 먼저 BV까고, 손상차손을 인식하면 되는데 혹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게 있다면 OCI부터 까자는 것임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회원로그인

회원가입

Copyright © junglecity.shop All rights reserved.